좋기만 한 것 아녔다 채소 많이 먹으면, ‘이곳’ 영구 손상. > 자유게시판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자유게시판

좋기만 한 것 아녔다 채소 많이 먹으면, ‘이곳’ 영구 손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5-07-23 08:01 조회 427 댓글 1

본문

좋기만 한 것 아녔다 채소 많이 먹으면, ‘이곳’ 영구 손상.

 

좋기만 한 것 아녔다 채소 많이 먹으면, ‘이곳’ 영구 손상.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비타민과 섬유질, 미네랄 등이 풍부해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채소가 사실 치아에는 해로울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지난 2일(현지시각) 스페인 발렌시아 공과대 연구팀에서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식물성 식단이 치아 법랑질에 영구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식물 세포에서 발견되는 식물규소체(식물에 있는 규소가 이산화규소 형태로 축적돼 형성되는 구조물)가 박혀 있는 인공 잎을 만들어 실험을 진행했다. 인공 잎을 사람의 치아에 문질렀을 때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관찰했다.

실험 결과, 인공 잎의 입자들이 법랑질을 마모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미 손상된 치아에서 마모가 더욱 심했다. 법랑질 내부 균열로 인한 영구적 구조 변화인 ‘준소성 변형’도 발생했다.

 

연구팀이 주목한 법랑질은 치아를 감싸는 단단한 바깥층으로, 치아 내 노란 조직인 상아질을 보호한다. 법랑질이 마모되면 충치에 취약해지고 쉽게 착색될 수 있다. 치아가 시려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에도 더 민감해진다. 방치할 경우 치아가 부러지거나 치아 뿌리까지 손상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게다가 법랑질은 다시 자라지 않아 복구가 어렵다. 손상되기 전 보호하는 게 가장 좋다. 손상된 후 치과에서는 추가 손상을 막기 위해 크라운(치아 모양의 덮개)을 씌운다.

 

연구팀은 채소는 신체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어도 치아 건강에는 해로울 수 있다며 법랑질 마모 원인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안할 수 있어 의미 있는 연구다라고 말했다.

서울버팀치과 엄용국 원장은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우리나라는 딱딱한 음식을 좋아해 치아 파절(치아가 외부요인에 의해 부분적으로나 완전히 깨진 것) 성향이 강하다며 특히 채소는 짓이겨 먹어야 하고 한식에는 강하게 힘을 줘서 먹어야 하는 음식이 많다고 말했다.

다만 채소는 식이섬유를 포함한 여러 영양소가 풍부해 노화 방지와 심혈관 건강 등에 꼭 필요한 음식이다. 엄 원장은 치아가 이미 약하다면 (대안으로) 채소를 익히거나 데쳐서 부드럽게 먹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Interface’에 게재됐다.

댓글목록 1

최고관리자님의 댓글

최고관리자 작성일

본문 바로가기

<?php echo $config['cf_title']; ?>

메뉴열기 

메뉴 닫기 

사용자메뉴

메뉴 닫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 function fsearchbox_submit(f) { var stx = f.stx.value.trim(); if (stx.length < 2) { alert("검색어는 두글자 이상 입력하십시오."); f.stx.select(); f.stx.focus(); return false; } // 검색에 많은 부하가 걸리는 경우 이 주석을 제거하세요. var cnt = 0; for (var i = 0; i < stx.length; i++) { if (stx.charAt(i) == ' ') cnt++; } if (cnt > 1) { alert("빠른 검색을 위하여 검색어에 공백은 한개만 입력할 수 있습니다."); f.stx.select(); f.stx.focus(); return false; } f.stx.value = stx; return true; } 

기본
크게
더크게

$(function () { //폰트 크기 조정 위치 지정 var font_resize_class = get_cookie("ck_font_resize_add_class"); if( font_resize_class == 'ts_up' ){ $("#text_size button").removeClass("select"); $("#size_def").addClass("select"); } else if (font_resize_class == 'ts_up2') { $("#text_size button").removeClass("select"); $("#size_up").addClass("select"); } $(".hd_opener").on("click", function() { var $this = $(this); var $hd_layer = $this.next(".hd_div"); if($hd_layer.is(":visible")) { $hd_layer.hide(); $this.find("span").text("열기"); } else { var $hd_layer2 = $(".hd_div:visible"); $hd_layer2.prev(".hd_opener").find("span").text("열기"); $hd_layer2.hide(); $hd_layer.show(); $this.find("span").text("닫기"); } }); $("#container").on("click", function() { $(".hd_div").hide(); }); $(".btn_gnb_op").click(function(){ $(this).toggleClass("btn_gnb_cl").next(".gnb_2dul").slideToggle(300); }); $(".hd_closer").on("click", function() { var idx = $(".hd_closer").index($(this)); $(".hd_div:visible").hide(); $(".hd_opener:eq("+idx+")").find("span").text("열기"); }); }); 

뒤로가기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회사명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
/volume1/web/g5org/theme/basic - v5.6.16